UPDATED. 2024-03-21 11:09 (목)
[문학] 작가 김규나의 오늘 다시 읽는 문학
[문학] 작가 김규나의 오늘 다시 읽는 문학
  • 프리덤뉴스
  • 승인 2017.12.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톤 체호프 단편소설

작가 김규나의 오늘에 다시 읽는 문학

- 인간 세계에 아무리 큰 죄악이 범람하고 있어도, 밤은 역시 고요하고 아름다웠다. 이 지상에 살고 있는 모든 것들은 달빛이 밤과 융합되듯이, 스스로 정의와 진리에 융합되기를 갈망하고 있는 것이다. / 안톤 체호프 단편소설 <골짜기> 중에서.

그리고리 영감은 돈이 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취급하며 속여 파는 것은 기본이고, 뇌물을 받은 관청의 묵인 하에 공장을 불법으로 운영하고 주류 밀매와 고리대금업까지 하며 부를 축적해온 지역의 유지다. 그러나 장남 아니심의 은화 위조 사용을 시작으로 그의 시대는 급속히 쇠락의 길로 접어든다.

큰아들 이니심은 시베리아 유형을 떠나게 되고, 아름답고 총명해보이던 둘째며느리 악시냐는 갓 태어난 조카가 유산을 다 차지하게 될 거라는 사실을 알게 되자 뜨거운 물을 끼얹어 아기를 죽여버릴 정도로 사악한 본성을 드러낸다.

그녀는 은밀한 관계를 갖고 있던 이웃 가문과 사업을 벌이고는 집안의 실권을 장악한다. 남편도 아이도 잃은 큰며느리 리파는 가난한 친정으로 돌아가 다시 힘겨운 노동자의 생활로 삶을 이어가고, 그리고리는 굶주린 채 며느리에게 내쫓기다시피 마을을 떠돈다. 마을 사람들은 그런 그리고리를 보며 '재미있어 하기도 하고, 가엾게' 여기며 동정하기도 했다.

그리고리 시절과 다름없이 악시냐의 시대에도 부의 혜택을 누리는 건, 남편이나 가족의 불행에는 초연하고 '자선'에만 몰두하던 그리고르의 부인 바르바라와 자신의 아내가 다른 사내와 바람을 피우든 말든, 관심도 없고 알려고도 하지 않는, 세상에 대해 눈 멀고 귀 막은, 귀머거리 둘째 아들 스테판뿐이다.

- 노인(그리고리 영감)과 스쳐지나가게 되었을 때 리파가 정중히 인사를 하며 말했다. "안녕하세요, 아버님." 노인은 걸음을 멈추고 물끄러미 그녀를 쳐다보았다. 그의 입술이 떨리고 눈에는 눈물이 가득 고였다. 리파는 고기만두 꺼내 노인에게 주었다. 노인은 그것을 받아서 먹기 시작했다. 해는 아주 넘어가 버려서 길 위쪽을 비추고 있던 빛까지도 이미 사라져버렸다. 리파는 발걸음을 옮기면서 오래도록 성호를 그었다. 아무런 연고도 남지 않은 리파는 누구도 원망하지 않고 다시 자신의 삶을 살아간다. 동네 노인의 충고처럼.

- 지금의 슬픔 같은 건 대단치 않아. 사람의 일생은 기니까. 앞으로 좋은 일도 있고 나쁜 일도 있을 거야. 별의별 일이 다 생긴다고. 그래선지 죽고 싶다고는 생각 안 해. 앞으로도 20년 쯤 더 살고 싶다고 생각하지. 결국은 좋은 일 쪽이 더 많았다는 거야.

이 소설에서 우리가 기대하는 권선징악은 없다. 악시냐는 악시냐가 빼앗은 악의 세계의 번성을 누리고, 리파는 리파대로 가난한 평온을 살아갈 뿐.

- 훔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숨기는 것은 아주 어렵거든요! 세상은 넓지만 장물을 숨길 장소는 어디에도 없으니까요.

- 이 세상에서는 우리들이 사기꾼으로 몰릴지라도, 저 세상에 가보면 바로 너희들이 사기꾼들이야. 하하!

- 일하는 사람이나 고통을 참는 쪽이 언제나 위에 있는 거야.

과거나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생명으로 태어나 살아가는 한, 인간이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려는 마음을 품고 살아가는 한, 세상은 언제나 선과 악의 팽팽한 대립으로 점철되어 왔을 것이다.

그러나 어쩌면 권선징악을 믿고 싶은 우리네 바람과는 달리, 그리고리를 내몬 악시냐처럼, 악은 선에 의해 소멸하는 게 아니라 더 큰 악에 의해 잡아먹힌다. 그러므로 누가 누굴 이겨주길 바란다는 것은, 지금보다 더 큰 악과 거짓에게 의존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우리가 그토록 믿고 싶어 하는 선과 진실은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일까. 선과 진실은 그저 저만큼 뚝 떨어진 곳에서 악과는 전혀 무관하게, 악의 존재조차 모르면서, 그래서 물들지 않고 대립하지 않고 노여움이나 연민도 없이 오직 자신의 자리에서 묵묵히 이 세상의 일정한 선의 질량을 지켜내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아무리 악한 세상이 도래할지라도 이 세상이 완전히 무너지지 않을 수 있는 이유가 아닐는지. 그렇게 생명은, 인간은 그 어떤 척박한 악의 세상에서조차 살아낼 수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고, 체호프의 단편소설 <골짜기>를 읽을 때마다 생각하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