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07 22:52 (일)
[류재한의 고사성어] 정곡(正鵠)
[류재한의 고사성어] 정곡(正鵠)
  • 프리덤뉴스
  • 승인 2022.0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故事成語105. 2022.3.7.(월)

●柳在漢(류재한)

正 鵠

바를 정 과녁 곡

표준국어대사전 : 정곡(正鵠) ; 1과녁의 한가운데가 되는 점.

2가장 중요한 요점 또는 핵심. 곡적.

3((‘정곡으로꼴로 쓰여)) 조금도 틀림없이 바로.

출전/유래 : 정곡(正鵠)은 중용(中庸)예기(禮記)에서 유래한다.

공자 손자 자사(子思 BC492~431)가 지은 중용 14장의 내용이다.

子曰 射有似乎君子 失諸正鵠 反求諸其身

(자왈 사유사호군자 실저정곡 반구저기신)

공자가 말했다. 활을 쏘는 것은 군자와 닮은 점이 있다.

정곡을 놓치면 돌이켜 자기 자신에게서 문제점을 찾는다.

천에 과녁을 그리는 것을 정()이라 하고, 가죽에 그리는 것을 곡()이라 한다.

모두 새의 이름으로 정은 솔개이고, 곡은 고니이다. 정은 바르다()라는 뜻이고, 곡은 곧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대사(大射)에는 가죽 바탕에 곡을 그리고, 빈사(賓射)에는 천 바탕에 정을 그린다.

대사는 선비 선발을 위한 대제를 지내고 난 후의 활쏘기고, 빈사는 천자(天子)가 연회(宴會)를 한 후의 활쏘기 의식이다.

대성(戴聖 BC2세기경)이 지은 예기(禮記) 사의(射義)에서의 내용이다.

射者何以射 何以聽(사자하이사 하이청)

循聲而發 發而不失正鵠者 其唯賢者乎

(순성이발 발이부실정곡자 기유현자호)

若夫不肖之人 則彼將安能以中(약부불초지인 즉피장안능이중)

활을 쏘는 사람은 어떻게 쏘며 어떻게 듣는가. 소리를 좇아서 발사하고 발사해서 정곡을 놓치지 않는 자는 오직 어진 사람일 뿐이다.

저 재주 없는 사람이라면 어찌 적중시킬 수 있겠는가.

정곡(正鵠)은 문제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한 것을 뜻한다.

------------------------------------------------------------

:쏠 사 :같을 사 :어조사 저 :과녘 후 :손님 빈 :들을 청

:좇을 순 :소리 성 :어질 현 :작을 초 :나아갈 장 :어찌 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